“이 아파트 허가 받아야 한다는데요?”부동산 계약 앞두고 이런 말 들어보셨나요?
요즘은 아파트 하나 사려 해도
그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이면 구청 허가 없이는 거래 자체가 무효입니다.
내가 사려는 집이 토지거래허가 대상인지 모르면, 수천만 원 계약금을 날릴 수도 있습니다.
그래서 오늘은 누구나 직접 할 수 있는
토지거래허가제 확인법을 알려드립니다.
내 집이 허가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 (실시간 조회)
1)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
- https://land.seoul.go.kr
- ‘토지거래허가구역 조회’ 메뉴 클릭
- 주소나 단지명을 검색하면
허가 여부 / 용도지역 / 면적 기준 확인 가능
2) 경기도 GIS 시스템
- https://gris.gg.go.kr
- 지도에서 직접 클릭하거나 주소 입력
- 해당 아파트가 허가 대상인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
👉 이 두 사이트 모두 토지거래허가 실시간 조회,
허가 대상 아파트 확인에 최적화돼 있습니다.
→ 지금 내가 사려는 아파트, 허가 대상인지 5초 만에 확인하기
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 실시간 확인
https://www.k-apt.go.kr/web/main/index.do
모바일에서도 토지거래허가 확인 가능
- 스마트서울맵 앱
- 경기도 스마트경기지도 앱
- 위치 기반으로 지도에서 바로 허가 여부 확인 가능
- 중개사 없이도 현장에서 바로 체크 가능
👉 토지거래허가구역 실시간 확인은 계약 전에 필수입니다.
실전 예시: 삼성동 아파트
주소: 삼성로 85길 (강남구)
검색 결과: 토지거래허가 대상
→ 주거지역 / 전용면적 18㎡ 초과 / 실거주 2년 의무 있음
즉, 허가 없이 거래하면 등기 불가 + 계약 무효될 수 있습니다.
토지거래허가 대상 체크리스트
- 주소 기반으로 허가 여부 조회했나요?
- 전용면적 18㎡ 이상인가요?
- 허가구역 안에 포함된 단지인가요?
- 실거주 조건(2년 이상) 가능한가요?
→ 허가 대상 자동 체크 + 구청 서류 대행 서비스 보기
왜 토지거래허가제 확인법을 꼭 알아야 할까?
- 허가 없이 거래하면 등기 거절
- 실거주 의무 위반 시 과태료 부과
- 계약 무효, 세금 불이익 발생 가능
👉 계약 전에 토지거래허가 여부 확인은 필수입니다.
다음 글 예고
[4편] 실거주 조건 어기면 벌금? 실제 사례 모음 (업로드 예정)
[3편] 토지거래허가 신청 절차와 준비서류 (업로드 예정)
여러분의 상황은 어떤가요?
혹시 내가 사려는 아파트가
토지거래허가 대상인지 헷갈리신가요?
단지명이나 주소를 댓글로 남겨주세요.
직접 확인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